빠른상담신청
  • 문의항목
  • 성함
  • 연락처
  • 제목
망막·유리체
모든 환자를 내 부모, 내 아이로 생각하며,
진심을 다해 실력으로 보여드립니다.
당뇨망막 클리닉
당뇨망막병증은?
당뇨망막증은 당뇨의 흔한 합병증 중 하나로 고혈당으로 모세혈관에 이상이 생기면서 망막의 순환 장애가 발생하여 점차 망막이 손상되는 질환입니다. 당뇨망막병증은 당뇨 합병증 중에서 가장 무서운 것으로 세계 각국에서 실명 원인 중 1순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당뇨의 유병기간이 길어질수록 발병율이 증가하며, 20년 이상 당뇨를 앓아온 환자들 중 1형 당뇨인 경우 99%, 2형 당뇨인 경우 60% 이상에서 발병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당뇨망막병증의 무서운 점은 특별한 증상이 없다는 것에 있습니다.
망막 조직의 일정 수준 이상 손상될 때까지 아무런 증상을 보이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당뇨가 있다면 당뇨망막병증의 조기 발견과 적절한 치료를 위해서 정기적인 안과 진찰이 매우 중요합니다.
당뇨망막병증의 진단
당뇨망막 병증의 진행 단계는 크게 신생혈관이 자라지 않은 비증식성과 신생혈관이 자란 증식성으로 나눠 볼 수 있고 80%에서 비증식성 당뇨망막병증을 보이는데 신경층의 허혈, 미세출혈, 기름 찌꺼기에 따라 경증, 중등도, 심각한 단계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비증식성 당뇨망막병증

비증식성 당뇨망막병증의 망막의 작은 혈관들이 약해져서 혈청이 새거나 혈관이 막혀서 영양 공급이 중단되는 상태를 말합니다.
비증식성의 진행 단계는 3단계로 나뉘며, 점점 망막혈관 폐쇄가 심해집니다.
실명을 초래하지 않으나 모세혈관벽이 약해져 물이 새어 나가게 되면 황반이 붓게 되어 (황반부종) 시력 장애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경증 (Mild)
중증도 (Moderate)
심각 (Severe)

증식성 당뇨망막병증

증식성 망막증은 망막증이 많이 진행된 상태로 망막으로의 혈액순환이 나쁜 곳에서 새로운 혈관이 생겨나고 이 혈관들은 쉽게 출혈을 일으키며 (유리체출혈) 또 그 주위로 막들이 자라나와 망막을 잡아당겨 망막박리를 일으키기도 합니다.
당뇨망막병증의 치료
비증식성 당뇨망막병증 치료의 가장 중요한 점은 혈당조절이며 정기적인 검진을 병행하게 됩니다.
증식성 당뇨망막병증으로 진행이 생기면 범망막광응고술(레이저술)을 시행합니다.
혈관생성인자 억제물질 안내주사로 치료하기도 하며 심한 출혈과 섬유화가 생긴 경우 유리체절제술로 걷어내어 줍니다.
주사치료
스테로이드 주사
항체주사치료
레이저치료
국소레이저광응고술
범망막광응고술
수술치료
유리체절제술
주사치료
스테로이드 주사
항체주사치료
레이저치료
국소레이저광응고술
범망막광응고술
수술치료
유리체절제술

범망막광응고술

레이저로 넓은 범위의 망막을 치료한다고 하여 범망막광응고술이라고 하며 당뇨망막병증 진행을 막기 위해 시행하는 레이저 치료로 당뇨망막병증 환자의 시력 손상을 줄일 수 있는 치료입니다.
망막에 산소가 정상적으로 공급되지 않아 비정상적으로 발생한 신생혈관은 망막의 출혈이나 부종을 유발하는데 레이저를 통해 신생혈관을 줄어들게 하고 새로운 신생혈관의 발생률도 억제할 수 있습니다.
  • 범망막광응고술

  • 국소광응고술

  • 범망막광응고술

  • 국소광응고술

범망막광응고술 과정

  • 점안 마취 또는 안구 뒤로
    마취주사를 주입하는
    구후마취를 진행합니다.
  • 레이저 초점 유지와
    눈 깜빡임 방지를 위해
    특수렌즈를 눈에 접촉합니다.
  • 일주일 정도 간격을 두고
    2~4회에 걸쳐 레이저를 망막에
    조사하여 치료
    합니다.

유리체절제술

안구내에 출혈이 생긴 유리체출혈이 상당 기간 지속되거나 망막 신경의 변화까지 동반하는 견인성 망막박리까지 생길 경우 유리체절제술이라는 수술을 시행합니다.
안과에서는 큰 수술에 속하며, 일반적으로 출혈이 동반된 유리체를 절제하여 흡수한 뒤 유리체가 있던 공간은 액체나 가스로 채우는 방법입니다.
수술 후에는 안정을 취하면서 회복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질문과 답변
당뇨를 앓은 기간이 길수록 당뇨망막병증이 생길 확률이 높아서, 15년 이상 당뇨를 앓은 사람의 80% 정도에서 망막혈관 손상이 생길 수 있습니다. 그 외에도 고혈압, 빈혈, 신장질환 그리고 임신도 위험인자입니다.
당뇨망막병증의 완전한 예방법은 없으며, 모든 형태의 당뇨환자에서 당뇨망막병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하지만 혈당을 조절하면 당뇨망막병증의 발생을 늦추고 진행을 느리게 할 수 있음이 입증되어 있습니다. 또한 혈당조절 외에도 규칙적인 운동, 혈압조절, 금연, 적당한 체중 유지를 해야 합니다.
초기에는 증상이 없으므로 당뇨망막병증이 이미 생겼어도 본인은 모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조기진단을 위해서는 안과 의사에게 정기적으로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조기진단 및 시기와 심한 정도에 따른 적절한 치료가 당뇨망막병증의 합병증 예방 및 시력 유지에 필수적입니다.
당뇨를 앓고 있다면 당뇨망막병증이 없더라도 반드시 1년에 한번은 안과 의사에게 눈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안약을 이용하여 동공을 산동시키게 되는데, 이를 통해 안과 의사가 망막을 잘 검사할 수 있게 됩니다. 당뇨망막병증이 일단 생기면 안과 의사는 추가 검사와 치료 또는 재검진을 권할 것입니다. 재검진 간격은 당뇨망막병증의 심한 정도에 따라 정해집니다.
시력을 측정하고 동공을 산동 시켜 세극등과 검안경을 이용하여 망막을 검사합니다. 많은 경우에 형광 안저촬영(FAG)이나 광간 섭 단층촬영(OCT)과 같은 특수검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특수 카메라를 이용하여 연속적인 망막 사진을 얻는 검사입니다. 노란 염색약을 환자에게 정맥주사 후 이 염색약이 망막에 도달하면 사진을 찍게 되는데, 이는 망막혈관을 분명하게 볼 수 있게 도와주며, 혈액이 잘 통하지 않는 부분이나 망막 모세혈관이 늘어난 부위를 정확하게 볼 수 있어 레이저로 치료할 부위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합니다. 당뇨망막병증의 심한 정도를 진단하는 기본적이고 필수적인 검사이며 황반부종의 평가에도 이용됩니다.
레이저를 이용하여 반사되는 빛을 통해 망막 특히 황반의 단면을 검사하는 방법으로, 우리 몸에 어떠한 약물도 주사하지 않습니다. 또 몸이 불편한 사람도 휠체어에 앉아 검사받을 수 있고, 검사시간도 5분 내외로 환자의 불편함은 거의 없습니다. 황반부종에 의한 시력저하를 진단할 수 있으며 치료의 효과를 평가하는데도 필수적인 검사입니다. 최근에는 Spectral Domain OCT라는 보다 진보된 기술의 고해상도 망막단층 촬영 기기가 검사의 표준으로 각광받고 있으며 검사시간이 매우 짧아 환자의 불편을 최소화하였습니다.
  • 대표자송태근
  • 주소경기도 구리시 갈매 중앙로 87 메이저타워 303호
  • 전화번호031-8074-9494
  • 이메일galmaeeye@naver.com
  • 사업자등록번호432-99-00778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