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른상담신청
  • 문의항목
  • 성함
  • 연락처
  • 제목
소아안과 클리닉
모든 환자를 내 부모, 내 아이로 생각하며,
진심을 다해 실력으로 보여드립니다.
사시
두 눈이 다른 곳을 보는 증상 사시
사람의 눈은 일생동안 오른쪽 눈과 왼쪽 눈이 항상 같은 곳을 바라보도록 설계 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어떤 곳을 주시할 때 두 눈의 시선이 한 곳으로 정렬되지 않고 각자 다른 곳을 바라보게 되는 증상이 한 번이라도 나타나면 사시라고 합니다.
사시는 소아의 2~4% 정도에서 발생합니다.
사시 원인
사시의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안구를 움직이는 외안근의 조절기능에 이상이 있는 경우 사시가 발생하며 이외에도 기질적 원인(안와 및 두개골의 이상, 근육의 이상, 뇌손상, 신경마비 등), 심한 원시, 시력이 좋지 않은 경우, 전신 질환의 합병증(갑상샘 질환, 근무력증, 당뇨 등)으로 인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사시 종류
증상별 사시 종류
01
유아 내사시
출생 후 6개월 이내에 나타나며
눈이 코 쪽으로 몰리는 내사시가 나타납니다.
오래 방치될 경우 양쪽 눈의 시기능을 회복할
수 없으므로 늦어도 생후 24개월 이전에
수술을 해야 두 눈으로 보는 기능과
시력의 발달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02
조절 내사시
원시를 가지고 태어난 아이들의
생후 1~3년 사이에 발생하는 증상입니다.
안경 착용만으로 사시가 완전히 사라진다면
수술이 필요하지 않지만 지속적으로 안경을
착용해야 하며, 안경 착용 후에도 사시가
상당량 남는다면 수술이 필요합니다.
03
간헐 외사시
3세 전후로 발생하며 피곤하거나 졸릴 때,
긴장하거나 울 때에만 일시적으로 발생하다가
점차 사시의 각도가 커지고 발현 시간이
길어집니다. 우리나라 아동에게서 가장 흔히
나타나며 시력, 외모, 눈의 피로감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수술 시기를 결정합니다.
04
감각 사시
한쪽 눈의 시력이 현저하게 저하된 경우에
발생합니다. 사시 방향에 규칙성이 존재하지는
않지만 시력 소실이 유·소아기에 발생한
경우에는 내사시, 학동기 이후에 시작된
경우에는 외사시가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외모 개선을 목표로 수술을 시행하며
시력의 회복은 불가능 합니다.
05
마비 사시
눈을 움직이는 외안근으로 오는
신경의 이상으로 발생하는 사시입니다.
신경이상의 원인을 규명하는 것이 중요하며,
특정 방향으로 눈 움직임이 제한되고,
복시, 이상두위(머리기울임 혹은 얼굴돌림),
눈떨림 등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01
유아 내사시
출생 후 6개월 이내에 나타나며 눈이 코 쪽으로 몰리는 내사시가 나타납니다. 오래 방치될 경우 양쪽 눈의 시기능을 회복할 수 없으므로 늦어도 생후 24개월 이전에 수술을 해야 두 눈으로 보는 기능과 시력의 발달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02
조절 내사시
원시를 가지고 태어난 아이들의 생후 1~3년 사이에 발생하는 증상입니다. 안경 착용만으로 사시가 완전히 사라진다면 수술이 필요하지 않지만 지속적으로 안경을 착용해야 하며, 안경 착용 후에도 사시가 상당량 남는다면 수술이 필요합니다.
03
간헐 외사시
3세 전후로 발생하며 피곤하거나 졸릴 때, 긴장하거나 울 때에만 일시적으로 발생하다가 점차 사시의 각도가 커지고 발현 시간이 길어집니다. 우리나라 아동에게서 가장 흔히 나타나며 시력, 외모, 눈의 피로감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수술 시기를 결정합니다.
04
감각 사시
한쪽 눈의 시력이 현저하게 저하된 경우에 발생합니다. 사시 방향에 규칙성이 존재하지는 않지만 시력 소실이 유·소아기에 발생한 경우에는 내사시, 학동기 이후에 시작된 경우에는 외사시가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외모 개선을 목표로 수술을 시행하며 시력의 회복은 불가능 합니다.
05
마비 사시
눈을 움직이는 외안근으로 오는 신경의 이상으로 발생하는 사시입니다. 신경이상의 원인을 규명하는 것이 중요하며, 특정 방향으로 눈 움직임이 제한되고, 복시, 이상두위(머리기울임 혹은 얼굴돌림), 눈떨림 등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방향별 사시 종류
  • 내사시

  • 외사시

  • 상사시

  • 하사시

  • 내사시

  • 외사시

  • 상사시

  • 하사시

사시 치료방법
소아 사시의 경우에는 조기 발견하여 교정하는 것이 중요한데 일찍 치료하지 않으면 시력의 회복이 어려울 수 있기 때문입니다.

사시의 치료 목표는 시력이 정상적으로 발달할 수 있도록 하고, 눈의 위치를 정상적으로 만들어 주는 데 있습니다.

시력의 이상으로 사시가 발생하였다면 안경 착용으로 시력을 교정할 수 있으며, 약시가 있을때는 시력이 좋은 쪽 눈을 하루에 일정 시간 가려서 시력이 안좋은 쪽 눈을 사용하도록 도와주는 치료를 진행하기도 합니다.
비수술적 치료의 진행이 어렵다면 눈을 움직이는 근육을 절제해서 깊이를 조절해주는 수술적 치료를 진행합니다.
  • 대표자송태근
  • 주소경기도 구리시 갈매 중앙로 87 메이저타워 303호
  • 전화번호031-8074-9494
  • 이메일galmaeeye@naver.com
  • 사업자등록번호432-99-00778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