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시
두 눈이 다른 곳을 보는 증상 사시
사람의 눈은 일생동안 오른쪽 눈과 왼쪽 눈이 항상 같은 곳을 바라보도록 설계 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어떤 곳을 주시할 때 두 눈의 시선이 한 곳으로 정렬되지 않고 각자 다른 곳을 바라보게 되는 증상이 한 번이라도 나타나면 사시라고 합니다.
사시는 소아의 2~4% 정도에서 발생합니다.
하지만 어떤 곳을 주시할 때 두 눈의 시선이 한 곳으로 정렬되지 않고 각자 다른 곳을 바라보게 되는 증상이 한 번이라도 나타나면 사시라고 합니다.
사시는 소아의 2~4% 정도에서 발생합니다.

사시 원인
사시의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안구를 움직이는 외안근의 조절기능에 이상이 있는 경우 사시가 발생하며 이외에도 기질적 원인(안와 및 두개골의 이상, 근육의 이상, 뇌손상, 신경마비 등), 심한 원시, 시력이 좋지 않은 경우, 전신 질환의 합병증(갑상샘 질환, 근무력증, 당뇨 등)으로 인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사시 종류
증상별 사시 종류
방향별 사시 종류
-
내사시
-
외사시
-
상사시
-
하사시
-
내사시
-
외사시
-
상사시
-
하사시
사시 치료방법

소아 사시의 경우에는 조기 발견하여 교정하는 것이 중요한데 일찍 치료하지 않으면 시력의 회복이 어려울 수 있기 때문입니다.
사시의 치료 목표는 시력이 정상적으로 발달할 수 있도록 하고, 눈의 위치를 정상적으로 만들어 주는 데 있습니다.
시력의 이상으로 사시가 발생하였다면 안경 착용으로 시력을 교정할 수 있으며, 약시가 있을때는 시력이 좋은 쪽 눈을 하루에 일정 시간 가려서 시력이 안좋은 쪽 눈을 사용하도록 도와주는 치료를 진행하기도 합니다.
비수술적 치료의 진행이 어렵다면 눈을 움직이는 근육을 절제해서 깊이를 조절해주는 수술적 치료를 진행합니다.
사시의 치료 목표는 시력이 정상적으로 발달할 수 있도록 하고, 눈의 위치를 정상적으로 만들어 주는 데 있습니다.
시력의 이상으로 사시가 발생하였다면 안경 착용으로 시력을 교정할 수 있으며, 약시가 있을때는 시력이 좋은 쪽 눈을 하루에 일정 시간 가려서 시력이 안좋은 쪽 눈을 사용하도록 도와주는 치료를 진행하기도 합니다.
비수술적 치료의 진행이 어렵다면 눈을 움직이는 근육을 절제해서 깊이를 조절해주는 수술적 치료를 진행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