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막정맥폐쇄증
눈에 찾아오는 중풍 망막혈관폐쇄증
망막의 혈관이 막히거나 파열되어 출혈이 발생하면 원활한 혈액순환이 이루어지지 못해 망막이 손상되고 시력이 급격하게 저하되는데 이를 망막혈관폐쇄라고 합니다.
망막 동맥이 막히는 증상과 정맥이 막히는 두가지 형태가 존재하며 폐쇄된 위치에 따라 시력 저하 및 시야 장애 정도와 속도에 차이가 발생합니다.
망막 동맥이 막히는 증상과 정맥이 막히는 두가지 형태가 존재하며 폐쇄된 위치에 따라 시력 저하 및 시야 장애 정도와 속도에 차이가 발생합니다.



정상 시야

망막정맥혈관폐쇄(변시증)

망막동맥혈관폐쇄(중심시력저하)
망막혈관폐쇄 종류

- 망막 정맥 폐쇄
- 녹내장,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및 심장질환 등
혈액 순환 장애를 가지고 있는 분들에게서 자주 발생합니다.
중심 정맥 폐쇄는 갑작스러운 시력 감소가 나타나지만
분지 정맥 폐쇄의 경우 증상이 없는 경우도 존재합니다.
- 망막 동맥 폐쇄
- 고혈압, 색전, 혈전, 동맥경화 등의 전신질환을 가진 분들에게서
자주 발생합니다. 망막 중심 동맥이 막히며 원활한 혈액 공급이
이뤄지지 않아 시야에 안개가 낀 것 같은 급격한 시력 저하가
발생합니다. 동맥 폐쇄의 경우 증상 발생 후 즉각적인 치료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 망막 정맥 폐쇄
- 녹내장,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및 심장질환 등 혈액 순환 장애를 가지고 있는 분들에게서 자주 발생합니다. 중심 정맥 폐쇄는 갑작스러운 시력 감소가 나타나지만 분지 정맥 폐쇄의 경우 증상이 없는 경우도 존재합니다.
- 망막 동맥 폐쇄
- 고혈압, 색전, 혈전, 동맥경화 등의 전신질환을 가진 분들에게서 자주 발생합니다. 망막 중심 동맥이 막히며 원활한 혈액 공급이 이뤄지지 않아 시야에 안개가 낀 것 같은 급격한 시력 저하가 발생합니다. 동맥 폐쇄의 경우 증상 발생 후 즉각적인 치료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망막혈관폐쇄 치료
Treatment 01
치료
망막동맥폐쇄의 경우 안구 마사지 등 즉각적인 치료가 필요할 수 있으나 손상된 정도에 따라 시력 예후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망막정맥폐쇄의 경우, 황반 부종 시, 유리체강 내 트리암시놀론 또는 항체 주사, 레이저 등의 치료를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유리체 출혈을 막기 위해 레이저 치료를 병행할 수 있습니다.
Treatment 02
합병증 및 관리
망막정맥폐쇄의 경우는 황반 부종으로 인해 시력이 저하되며 합병증으로 유리체 출혈, 신생혈관 녹내장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망막동맥폐쇄는 시력 소실이 발생한 후 빨리 치료를 하는 것이 좋으나 손상된 정도에 따라 시력 예후가 달라질 수 있으며, 동반된 전신질환이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망막동맥폐쇄는 시력 소실이 발생한 후 빨리 치료를 하는 것이 좋으나 손상된 정도에 따라 시력 예후가 달라질 수 있으며, 동반된 전신질환이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한 번 손상되면 이전 상태로 되돌릴 수 없는 망막, 조기 발견과 치료가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 삼성밝은안과에서는 망막 전문 의료진과 대학병원급 장비를 통해 망막과 관련된 모든 질환을 진단하고 안전하게 치료할 수 있는 의료 인프라를 구축하였습니다.
망막정맥폐쇄증
흔히 ‘눈 중풍’이라고 불리는 망막정맥폐쇄증은 망막정맥 안에 혈전(피떡)이 생겨서 발생합니다.
망막동맥을 통해서 망막 안으로 피가 들어온 후 망막정맥을 통해서 눈 밖으로 피가 빠져나가야 하는데 정맥 안에 혈전이 생기면 마치 하수구가 막힌 것과 같이 혈액순환이 되지 않는 상태가 됩니다.
망막동맥을 통해서 망막 안으로 피가 들어온 후 망막정맥을 통해서 눈 밖으로 피가 빠져나가야 하는데 정맥 안에 혈전이 생기면 마치 하수구가 막힌 것과 같이 혈액순환이 되지 않는 상태가 됩니다.

망막정맥폐쇄증의 증상
망막정맥폐쇄는 안과 영역의 질환 중 가장 빠른 속도로 진행되는 증상이며 별다른 통증 없이 갑작스러운 시력저하가 발생합니다.
시력 저하와 물체가 찌그러져 보이는 변시증이 가장 흔하게 나타나며 출혈 및 부종 부위가 가려 보이는 시야 장애가 발생하게 됩니다.
만약 이때 황반부종을 오랫동안 방치할 경우 영구적인 시력 손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시력 저하와 물체가 찌그러져 보이는 변시증이 가장 흔하게 나타나며 출혈 및 부종 부위가 가려 보이는 시야 장애가 발생하게 됩니다.
만약 이때 황반부종을 오랫동안 방치할 경우 영구적인 시력 손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정상 시야

망막정맥혈관폐쇄 (변시증)

망막동맥혈관폐쇄 (중심시력저하)
망막정맥폐쇄증의 진단 및 치료
기본적인 안저검사 및 안저촬영으로 비교적 수월하게 진단받을 수 있습니다. 보다 정밀한 검사로는 황반부종을 평가하는 망막단층촬영(OCT)과 혈액순환 상태를 평가하는 형광 안저촬영(FA, FAG) 을 통해 폐쇄증의 심한 정도를 파악할 수 있겠습니다.
망막정맥폐쇄증 진단 검사
-
망막단층촬영(OCT)
-
형광 안저촬영(FA, FAG)
망막정맥폐쇄증의 치료 목적은 긴 폐쇄 기간 동안 황반의 기능을 보존하여 시력을 유지시키는 것입니다.
황반 부종이 생겼을 때 방치할 경우 망막이 손상되기 때문에 항체 주사라고 불리는 특수 약제를 눈 안에 주기적으로 주사하게 됩니다.
황반 부종이 생겼을 때 방치할 경우 망막이 손상되기 때문에 항체 주사라고 불리는 특수 약제를 눈 안에 주기적으로 주사하게 됩니다.
망막정맥폐쇄증 치료

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VEGF)의 항체를 눈 속에
주사해 혈관의 출혈을 멈추고 신생 혈관 생성 자체를
억제하는 치료 방법입니다.